Spring, Spring, Spring (봄, 봄, 봄)
- Joy Woudenberg
- 6 days ago
- 15 min read
Hello and welcome back to The Joyful Journey. If you are just joining us now, it’s nice to have you! I’m Joy and I quit my corporate job back in August of last year to be an English teacher in Korea. I was placed in two all boys middle schools in Busan, South Korea and it’s been a wild time ever since then.
Last we talked I described my experiences over the long winter break, which is similar to summer break for students in America. But now we are back in action with the semester roaring to a start. There are so many new things and some repeating things, so let’s get into it!
New Year, New Students
The semester began the first week of March, and it also marked the beginning of the new school year. This means that there is a fresh crop of first graders coming from elementary school. And let me tell you, these kids are babies! They are so much smaller than I anticipated.
Last year I started halfway through the school year and many of the students had already hit that growth spurt that causes them to grow impossibly tall for their ages. However, at this time, the students in first grade middle school are still incredibly small. Like actually children with wide eyes that blink slowly at me in confusion whenever I speak English.
I was also lucky enough to receive my very own classroom this semester. With a new classroom and new year, I took the opportunity to get organized and come up with some clearer classroom rules.I was also recommended to make a seating chart to better learn the students names. That has definitely been a game-changer.
Something about knowing their names has gained me a closer relationship with my students, making them more likely to try to speak to me in English which is my ultimate goal! Another trick I learned was the art of peer pressur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of course).
Let me explain; so in my class, at the beginning of class I have a segment called ‘Yap Time’ and during ‘Yap Time’ I put a question up on the board, usually something pertaining to the lesson. The students then need to either answer the question or chat with their friends about anything — as long as it’s in English. The catch? It must be in English.
Now enforcing this rule is nearly impossible and very often ‘Yap Time’ starts to sound like a room full of middle school boys speaking Korean as loud as possible. So I came up with a new rule: For every Korean word you speak, you must do a push-up. If you hear your friends speak Korean, you may tell them to do push ups.
I have never heard my students speak so much English. It was really amazing. The typical struggle us native English teachers have is encouraging kids to speak.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they do know quite a bit of English. But there is a culture of saving face here which dictates that if you can’t do something perfect you shouldn’t do it at all.
But that’s not how you learn a language. You need to make mistakes, but that’s really hard if you don’t try. But somehow, their competitive spirits and peer pressure got the best of them and I successfully tricked them into speaking English. It was a big win for Joy teacher. But now the only problem is I slip up and break the no Korean rule. But I am nothing if not a woman of my words so I join my boys doing push ups on the classroom floor.
Old Students
One great thing about starting my second semester at my school is that I actually know what’s going on this time. I know where the lunchroom is. I know how to use the printer. I know the schedules and when classes are cancelled (most of the time). And most importantly, I know the students.
After struggling so hard to remember 650 names last semester, this semester it finally seems they are starting to stick. Names are beginning to go with faces and even personalities. Also, with the more Korean I learn, the more I can learn about my students and their lives.
Suddenly it’s not just ‘the kid with glasses’ but 승준 who plays soccer in the left wing position and really likes the churro snacks from the vending machine on the 4th floor. The more I learn about my students and the better rapport we build, the more I feel like I can create a class that best fits their needs.
And of course, I can’t help but care deeply for my students. Despite being loud and a bit chaotic, most of my students are very good kids and they have a type of energy and love for life that reminds me how much I love people.
I can’t even think about when my third graders will go off to high school. The thought of parting with my students could bring me close to tears. Thankfully I have plenty of time before then.
The Unexpected
Or at least I thought. But life is full of unexpected and devastating tragedies. A few weeks ago, one of those unexpected tragedies hit me. I had a student pass away due to illness complications.
Nothing can prepare you for the passing of a child. There is something so ridiculously wrong about it. The unfairness of it closes around your throat and has you choking on the balmy spring air.
The shock ran through the school pretty quickly and settled on my once overly energetic students like a dark cloud. It was sincerely heartbreaking to see these children who are supposed to be loud and happy mourn the loss of their classmate.
I’d be lying if I said it didn’t shake me. Suddenly, as I looked at the faces of my students, a bit of fear crept in. Like maybe somehow this could be the last time I saw one of them.
But that has just driven me to work even harder to take care of my students and give them the best experiences possible. If you would’ve told me a year ago this would be my life I would’ve never believed you, but now I can’t imagine my life going any other way.
Language Studies
The longer I stay here in Korea the more I feel a sort of greed to learn the language. The desire to communicate what’s on my mind is growing stronger and stronger.
As a foreigner in a country where you can’t speak the language, there’s a level of frustration that begins to build when you can’t communicate. And the inability to speak the language causes a sort of infantilization that can drive anyone crazy. As a youngest sibling, there’s nothing that frustrates me more than being treated like a child.
I get it though. It’s not like someone can stay by my side all day and translate for me. But at the same time, I’m an adult. I’ve got a bachelor's degree and two years of corporate experience. I’ve lived by myself since I was 18 years old. I’ve got a 401k for goodness sake. Yet sometimes I’m not even trusted to take the right bus home or hand out water bottles effectively.
Because of that, I desperately want to learn Korean. To put myself on an equal level with my peers. But even though my language has greatly improved, the rate at which it is doing so is still not to my liking.
For those reasons I’ve decided to step up my game. Twice a week at language exchange is no longer cutting it. I’ve started private tutoring and laser focusing my language growth on building more vocabulary and language production.
After some self evaluation I’ve determined I’m at a B1 fluency level. Fluency goes from level A 1 and 2 (beginner), to level B1 and 2 (intermediate, and finally to C1 (advanced) and C2 (fluent). My goal in the next three to four months is to bring my B1 to a B2.
Over the past eight months my language level has gone from A2 to B1 which is fine, but I’m not really a patient person. So hold me to it y’all. Hopefully I will be able to satiate that greed for understanding.
Songkran
To absolutely no one’s surprise, I found myself in the beautiful city of Bangkok once again this April for the Songkran festival. I must say this time I really outdid myself with the whole crazy mid-twenties traveler persona.
First thing to note is the time frame of this trip. 48 hours exactly. Friday after work, my friends and I caught the last flight out from Busan to Bangkok, landing at around 10pm in Thailand. And our return flight? Midnight on Sunday. Dropping us off in Busan exactly one hour from when we were due at work on Monday morning. Perfect timing.
To be honest I’m surprised I found two people crazy enough to go with me. But hey, wanderlust is a contagious thing.
So, what is Songkran? Simply put, it’s the Thai new year, but it’s actually so much more than that. It’s a deeply religious holiday, as are many celebrations in Thailand — the culture tightly woven in with Buddhism. But Songkran is also the biggest water fight in the world.
Yup, you read that right. From April 13-15 the entire country of Thailand erupts in a giant water fight. Locals carry giant water guns like designer purses and shop owners are armed with garden hoses in case the opportunity to shower a passerby presents itself.
It’s all done in good fun. The water is meant to wash away bad luck so you walk into the new year with squeaky clean karma. And let me tell you, from the amount of water splashed on me, I better be the luckiest son-of-bitch on earth. Nothing cuts through the early Thai summer heat quite like a bucket of ice water poured down your face by a stranger with a cherubic smile.
But in all realness, it was one of the best trips of my life. Staying in the heart of Siam, my friends and I spent the following 48 hours chasing breakout parties. From mega-mall events with water slides and live performances to giant free EDM festivals to the crowded Silom road where languages from around the world could be heard over the sounds of splashing and delighted squeals.
I could talk your ear off about each little detail but I’ll keep it short here. If you want to know more take me to dinner ;). But I’ll give you the spark notes.
The main Songkran event was definitely Silom road where we joined thousands of locals and tourists alike in a water fight parade. We stopped along the street at different dj booths that had been brought out to the street to listen and dance to the lovely music.
As I mentioned before in this blog, I really enjoy riding motorcycles and that’s definitely something we did. It was even more fun during Songkran because pedestrians and pickup trucks with beds full of people armed with water guns shot ice cold water at us as we rode. Probably not a fun weekend to be a Grab driver.
We also hit many of the free festivals and concerts out on by the mega-malls that call Siam their home. I was able to see some Thai artists I’ve been wanting to and all for free. Since the earthquakes a few months ago there was a push by the Thai government to increase tourism to bring in funds. And let me tell you; it worked.
I loved Bangkok the second time just as much as I did the first time. Don’t worry, I’m sure I’ll find a reason to go back in the coming months.
Cherry Blossom Season
Another notable event that occurred this quarter was cherry blossom season. Starting in the final days of March and stretching to the first week of April, Busan’s trees exploded in baby pink flowers.
It was truly something straight out of a k-drama. Each street was lined with hundreds of these blooming trees, the air full of the sweet smell of flowers. Pink petals would drift down with the wind falling like snow.
When I looked out of the window of my 5th floor classroom to the mountains I could see the splotches of pink and white trees contrasting on the green like some kind of specked painting. Everytime I went outside I felt like I needed to do a double take with how whimsical it looked outside.
Despite cherry blossom season happening every year, the local residents of Busan seemed just as enamored with the tiny flowers as my foreigner friends and I were. Everytime we saw clusters of the pink trees there was always a handful of people taking photos there as well.
Of course my friends and I also dressed up to take photos amongst the beautiful flowers. We stopped at a particularly lovely street in Gwangali (광안리) to take photos. While we we're there we met some photographers who took our photos for free with really nice cameras. It was very fun. I’ll like their Insta below!
Springing Forward
So with that my spring here in Korea has quickly rushed by. It’s crazy to think I’ve already been here eight months. It seems like time is speeding past me faster than I can recognize it. Yet I will still try to hold on to each precious moment, even as it falls through my hands like water.
These days I’m starting to notice just how fast time is passing me by. In August it will mark the end of our contract in Korea and many of the friends I have made and shared so much life with here in Korea, will be going back home.
As for me… well I’m sure you’ve guessed it, but I’ve decided to stay at least for one more year. Maybe more. I knew when I left America, this journey would be more than a one year thing. And I also know that I’ve been happier here in Korea than I’ve ever been in my life.
Maybe it’s the job —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I’m excited to go to work each day. Maybe it’s the friends I’ve made in the spirit of adventure. Maybe it’s the culture and its intricacies that suit me better. Or maybe it’s the growth this adventure has forced in me. Whatever it is I can’t imagine going back just yet.
항상 그렇듯 제 번역은 ChatGPT를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류가 있다면 양해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The Joyful Journey에 다시 오신 걸 환영합니다! 지금 처음 오신 분들도 반가워요. 저는 조이라고 하고, 작년 8월에 회사를 그만두고 한국에서 영어 선생님으로 일하고 있어요. 현재 부산에 있는 남중학교 두 곳에 배정되어서 지금까지 정말 정신없는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지난번 이야기에서는 미국의 여름방학과 비슷한 한국의 긴 겨울방학 동안 있었던 일들을 나눴었죠. 그런데 이제는 개학 시즌이 돌아왔고, 이번 학기 시작과 함께 다시 활기찬 교실로 돌아왔어요. 새로운 일도 많고, 익숙한 일도 반복되고 있어서 바로 얘기해볼게요!
새 학기, 새로운 학생들
이번 학기는 3월 첫째 주에 시작됐고, 동시에 새로운 학년도 시작됐어요. 즉, 초등학교에서 막 올라온 1학년(중학교 기준) 학생들이 새로 들어왔다는 뜻이죠. 근데 진짜 말도 안 되게 애기들이에요! 제가 예상한 것보다 훨씬 작고 귀여워요.
작년에는 학기 중간에 부임했기 때문에 학생들 대부분이 이미 키가 훌쩍 자라 있었거든요. 근데 이번에는 중1 학생들이 진짜 아직 어리고 작아요. 영어로 말하면 눈을 동그랗게 뜨고 느리게 깜빡이면서 당황해하는 모습이 너무 귀엽고 웃기기도 해요.
이번 학기에는 저만의 교실도 생겼어요! 새로운 교실에 새 학년이 시작되니까 이 기회에 교실 정리도 하고, 좀 더 명확한 규칙도 세우게 됐어요. 그리고 학생들 이름을 더 잘 외우기 위해서 자리를 정해주는 ‘자리표’를 만들라는 추천도 받았는데, 와 이거 진짜 게임 체인저였어요.
학생들 이름을 알고 부르니까 훨씬 더 가까워진 느낌이 들었고, 영어로 말하려고 노력하는 경우도 훨씬 많아졌어요. 그게 제 궁극적인 목표니까 정말 기뻤죠! 그리고 또 하나 배운 꿀팁은 바로… ‘교육용 압박감’의 기술이에요. (ㅋㅋ)
설명해볼게요. 제 수업에서는 ‘Yap Time’이라는 코너가 있어요. 수업 시작할 때 보드에 질문을 하나 띄우고, 학생들은 그 질문에 대답하거나 그냥 친구랑 자유롭게 수다를 떨어도 돼요—단, 영어로만!
근데 현실은… 규칙 지키기가 쉽지 않죠. 결국 교실은 “ㄱㄴㄷㄹㅁㅂ” 중학생들의 한국어 난장판이 되곤 해요. 그래서 제가 새로 만든 규칙이 이거예요: 한국어 단어를 말하면 푸시업(팔굽혀펴기) 하나! 그리고 친구가 한국어 쓰는 걸 들으면 푸시업하라고 말해도 됨!
그 결과? 와, 애들이 영어를 그렇게 많이 말하는 걸 처음 봤어요. 진짜 놀라웠어요. 원어민 영어 선생님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이 바로 ‘애들 입을 여는 것’인데, 알고 보면 애들이 아는 영어가 꽤 많아요. 다만 한국에서는 ‘틀리면 창피하다’는 문화가 강해서 완벽하지 않으면 아예 안 하려는 경우가 많거든요.
근데 언어는 틀리면서 배우는 거잖아요. 시도도 안 하면 절대 늘 수 없어요. 다행히 중학생 특유의 경쟁심과 친구들 압박(?) 덕분에, 애들이 영어로 말하게 만든 작전은 대성공! 조이쌤 승리!
근데 문제는… 가끔 저도 한국어를 실수로 말해버려요. 그래서 저도 제 말을 책임지기 위해 아이들과 함께 바닥에서 푸시업하는 선생님이 되었습니다. 네, 애들이랑 같이 땀 흘리는 선생님이에요.
익숙한 얼굴들
이번 학기에 가장 좋은 점 중 하나는, 이제는 학교 생활이 좀 익숙해졌다는 거예요. 급식실이 어디 있는지도 알고, 프린터 사용하는 법도 알고, 수업이 언제 취소되는지도 (대부분은) 이제 감이 와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학생들을 알게 되었어요.
지난 학기에는 무려 650명의 이름을 외우느라 진짜 고생했거든요. 근데 이번 학기에는 이름들이 조금씩 기억에 남기 시작했어요. 얼굴과 이름이 연결되기 시작했고, 심지어 성격까지도 떠오르더라고요. 그리고 제가 한국어를 더 배우면서 학생들의 삶과 이야기를 더 잘 알게 됐어요.
이제는 ‘안경 쓴 애’가 아니라, 왼쪽 윙에서 축구하는 승준이고, 4층 자판기에서 츄러스 과자를 제일 좋아하는 학생이에요. 학생들을 더 잘 알아갈수록, 우리가 더 좋은 관계를 만들수록, 그만큼 그들에게 맞는 수업을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어요.
그리고 역시나, 저는 제 학생들을 정말 깊이 아끼게 됐어요. 시끄럽고 가끔 정신없긴 해도, 대부분의 아이들은 정말 좋은 아이들이고, 삶에 대한 에너지와 사랑이 가득한 모습 덕분에 저도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을 다시 느끼게 돼요.
3학년 아이들이 고등학교로 떠난다는 상상만 해도 마음이 뭉클해져요. 그들과 헤어지는 걸 생각하면 눈물이 날 것 같지만, 다행히 아직은 시간이 좀 남아 있어요.
예상치 못한 일
…그런 줄 알았죠. 근데 인생은 정말 예상치 못한, 때로는 너무나도 가슴 아픈 일들로 가득하더라고요. 몇 주 전, 그런 일이 제게도 찾아왔어요. 한 학생이 질병으로 인해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었거든요.
아이의 죽음을 받아들일 준비가 된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그건 정말 말도 안 되는 일이에요. 너무나도 부조리한 그 현실이 목을 조여오고, 따뜻한 봄바람조차 숨 막히게 느껴졌어요.
그 충격은 학교 전체를 빠르게 덮었고, 한때 너무 에너지가 넘치던 아이들에게 어두운 그림자처럼 내려앉았어요. 밝고 시끄러워야 할 아이들이 친구를 잃고 조용히 슬퍼하는 모습을 보는 건 정말 가슴이 아팠어요.
그 일이 저를 흔들어 놓았다는 걸 부정할 수 없어요. 그 후로 학생들 얼굴을 바라볼 때마다, ‘혹시 이게 마지막일 수도 있을까?’라는 불안이 슬며시 스며들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오히려 그 일 덕분에 더 열심히 하게 됐어요. 학생들을 더 잘 돌보고, 더 좋은 기억을 남겨주고 싶다는 마음이 강해졌어요. 1년 전만 해도 제가 이런 삶을 살고 있을 거라고 누가 말했으면 절대 안 믿었을 거예요. 근데 지금은 이 길 말고는 제 인생을 상상할 수가 없어요.
언어 공부
한국에 오래 머무를수록, 한국어를 배우고 싶은 욕심이 점점 더 커지는 걸 느껴요. 제 안에 있는 생각을 진짜로 표현하고 싶은 욕구가 점점 더 강해지고 있어요.
외국인으로서 현지 언어를 못하는 상황에서는, 말이 안 통해서 생기는 답답함이 서서히 쌓이게 돼요. 그리고 그 언어적 한계는 사람을 일종의 ‘아이 취급’하게 만들어요. 저는 막내로 자라서 그런지, 누군가 저를 아이처럼 대하는 건 정말 견딜 수 없거든요.
물론 이해는 해요. 누가 하루 종일 제 옆에서 통역을 해줄 수도 없는 일이니까요. 그래도 저는 어른이잖아요. 학사 학위도 있고, 2년이나 직장 경력도 있어요. 18살 때부터 혼자 살았고, 심지어 401k도 있어요! 그런데도 가끔은 제가 제대로 버스를 탈 수 있을지, 물병을 잘 나눠줄 수 있을지조차 신뢰받지 못할 때가 있어요.
그래서 저는 한국어를 정말 간절히 배우고 싶어요. 한국 친구들과 동등한 입장에서 소통하고 싶어서요. 실제로 제 한국어 실력은 많이 늘었지만, 그 속도가 제 마음에는 아직 부족하게 느껴져요.
그래서 요즘은 더 열심히 하기로 마음먹었어요. 일주일에 두 번 하는 언어교환만으로는 더 이상 부족하다고 느껴서, 이제는 개인 튜터와 함께 공부하고 있어요. 어휘력 확장과 말하기 능력 향상에 집중하고 있어요.
스스로 평가해보니 지금 제 한국어 수준은 B1이에요. 언어 능력은 A1, A2 (초급), B1, B2 (중급), 그리고 C1, C2 (고급과 유창함)으로 나뉘거든요. 제 목표는 앞으로 3~4개월 안에 B1에서 B2로 올라가는 거예요.
지난 8개월 동안 A2에서 B1까지 올라온 건 괜찮은 성과지만, 저는 성격이 워낙 급한 편이라 이 속도에 만족할 수가 없어요. 그러니까, 여러분—저 좀 감시해주세요! 언어에 대한 이 욕심, 제발 좀 채워지길 바라요.
쏭크란
아무도 놀라지 않겠지만, 이번 4월에도 저는 또다시 아름다운 도시 방콕에 가 있었습니다. 이유는 바로 쏭크란 축제! 그리고 솔직히 이번엔 진짜 제 미친 20대 여행자 페르소나를 제대로 소환했죠.
일단 이번 여행의 스케줄부터 말씀드릴게요. 정확히 48시간짜리 일정이었어요. 금요일 퇴근하자마자, 친구들이랑 같이 부산에서 방콕행 마지막 비행기를 탔고, 태국 도착은 밤 10시쯤. 그리고 돌아오는 비행기는 일요일 자정. 부산 도착 시간? 월요일 아침 출근 1시간 전. 타이밍 완-벽.
솔직히 이런 계획에 따라와 준 두 친구가 있다는 게 아직도 신기할 정도예요. 근데 뭐, 여행병은 전염성이 강하잖아요.
자, 그럼 쏭크란이 뭔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할게요. 한마디로 말하면, 태국의 설날이에요. 하지만 단순한 새해 명절이 아니에요. 태국의 많은 행사처럼, 쏭크란도 불교와 깊이 연결된 종교적인 의미가 있는 날이죠. 하지만 동시에, 세계 최대의 물총 싸움 축제입니다.
네, 진짜예요. 매년 4월 13일부터 15일까지, 태국 전역이 거대한 물놀이 장터로 변해요. 현지인들은 디자이너 가방처럼 멋진 대형 물총을 들고 다니고, 가게 주인들은 언제든지 지나가는 사람한테 물을 뿌릴 준비가 된 호스를 들고 있어요.
물론 이 모든 건 즐거운 마음으로 이루어져요. 물을 뿌리는 건 지난 해의 불운을 씻어내고 새해를 맑은 운으로 맞이하자는 의미예요. 그리고 그 말이 맞다면, 전 진짜 세상에서 제일 운 좋은 인간이 되었어야 해요. 누가 봄날 더위 속에서, 처음 보는 사람이 웃으면서 얼굴에 얼음물 끼얹는 걸 기억에 남지 않을 수 있겠어요?
진심으로 말하면, 이번 여행은 제 인생 최고의 여행 중 하나였어요. 시암 중심가에 머물면서 48시간 동안 파티만 쫓아다녔죠. 워터슬라이드와 공연이 있는 메가몰 이벤트, 대형 EDM 무료 페스티벌, 전 세계 언어가 들리는 실롬 거리까지—완전 대혼란 그 자체였지만 진짜 행복했어요.
하나하나 다 말하고 싶지만 여기에선 짧게 마무리할게요. 더 듣고 싶으면 밥 사줘요 ;) 그 대신 스파크 노트 드릴게요.
가장 기억에 남는 메인 이벤트는 실롬 로드였어요. 수천 명의 현지인과 관광객이 함께 물총을 들고 퍼레이드를 벌였고, 거리 곳곳에 설치된 DJ 부스에서 음악을 들으며 춤을 췄어요.
블로그에서 여러 번 말했지만, 저는 오토바이 타는 걸 진짜 좋아해요. 쏭크란 때 타는 건 더 재밌었죠. 길가 사람들과 트럭에 탄 사람들이 물총으로 얼음물을 쏘기 시작하니까, 놀이기구 타는 기분이었어요. Grab 운전자분들에겐 진짜 험난한 주말이었을 듯…
또 시암에 있는 메가몰들에서 열리는 무료 페스티벌과 콘서트도 많이 갔어요. 보고 싶었던 태국 아티스트들도 가까이서 봤고, 그것도 다 무료였어요! 몇 달 전 지진 이후, 태국 정부가 관광 산업을 살리기 위해 행사를 많이 열었다고 하더라고요. 효과는 완전 대박이었죠.
방콕은 두 번째 방문이었지만 첫 번째만큼, 아니 어쩌면 더 좋았어요. 걱정 마세요, 몇 달 안에 또 갈 핑계 만들 예정이에요.
벚꽃 시즌
이번 분기 또 하나의 특별한 순간은 바로 벚꽃 시즌이었어요. 3월 말부터 4월 첫 주까지, 부산의 나무들이 연분홍색 꽃으로 활짝 피어났죠.
진짜 K-드라마에서 튀어나온 장면 같았어요. 거리마다 수백 그루의 벚나무가 줄지어 피어 있었고, 공기에는 꽃 향기가 가득했죠. 바람이 불 때마다 꽃잎이 눈처럼 흩날렸어요.
5층 교실 창문 너머로 산을 바라보면, 연분홍과 하얀 나무들이 초록빛 산 사이사이에 점처럼 퍼져 있었고, 꼭 그림을 보는 것 같았어요. 밖에 나갈 때마다 한 번 더 쳐다보게 되는, 너무 몽환적인 풍경이었죠.
매년 벚꽃이 피지만, 부산 주민들도 저와 외국인 친구들만큼 이 작은 꽃들에 여전히 설레는 것 같았어요. 벚나무가 많은 곳에는 항상 사진 찍는 사람들이 있었거든요.
저희도 당연히 예쁘게 꾸미고 사진 찍으러 갔죠! 특히 광안리의 한 아름다운 거리에서 사진을 찍었는데, 그곳에서 고퀄 카메라를 가진 사진 작가분들을 만나서 무료로 예쁜 사진을 찍어주셨어요. 완전 꿀잼이었죠. 인스타 계정은 아래에 링크할게요!
봄처럼 앞으로
이렇게 저의 한국의 봄은 순식간에 지나가버렸어요. 벌써 한국에 온 지 8개월이 됐다는 게 너무 신기해요. 시간이 제가 인식할 수 없을 만큼 빠르게 흘러가는 느낌이에요. 그래도 손가락 사이로 물처럼 새어나가는 이 소중한 순간들을 꼭 붙잡고 싶어요.
요즘 들어 시간이 얼마나 빨리 지나가는지 자꾸 느껴져요. 8월이 되면 지금 계약이 끝나고, 제가 이곳에서 인생의 많은 순간을 함께 나눈 친구들 대부분이 자기 나라로 돌아가게 되거든요.
그럼 저는요? 뭐, 눈치채셨겠지만—저는 최소 1년 더 한국에 남기로 했어요. 아마 그 이상도. 미국을 떠날 때부터, 이 여정이 1년짜리로 끝나지 않을 거라는 걸 알고 있었어요. 그리고 솔직히 말하면, 저는 한국에서 지금까지 제 인생 중 제일 행복했어요.
그 이유가 뭘까요? 어쩌면 지금의 일 — 매일 아침 출근이 설레는 건 처음이에요. 아니면 이 모험 속에서 만나게 된 친구들일지도 몰라요. 혹은 제게 더 잘 맞는 이 문화의 디테일들? 아니면 이 여정이 제 안에서 강제로 일으킨 성장? 뭐가 됐든, 아직 돌아갈 수 없을 것 같아요.
Comments